주택/주택자재2017. 12. 17. 00:43

단열재(인슐레이션 insulation)-유리섬유(그라스 울 Glass Wool)


건축용어 정리

한국어: 단열재 / 영어: Insulation(인슐레이션)

건축을 처음 접하거나 건축용어에 대해 정리가 안돼 있으면 혼동하기 쉽습니다.  단열재는 즉 인슐레이션입니다. 설계도면이나 현장에서 인슐레이션이라 말하면 단열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단열재의 종류에도 여러가지가 있는데 대표적인 유리섬유(그라스 울 Glass Wool)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인슐레이션이 유리섬유(그라스 울 Glass Wool)이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사전의미

규산염을 주성분으로하는 천연 형태이고 가장 일반적인 유리입니다. 글라스 피버(Glass fiber) = 그라스울(Glass Wool)

유리를 고온에서 녹여 섬유 형태로 만든것을 총칭합니다. 유리섬유는 제조법(단섬유, 장섬유) 용도에 따라 광학케이블, 건축용 단열재, FRP등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1910년 독일에서 개발되어 1930~1960년대에걸쳐 미국에서 공업화로 많이 사용됩니다. 고온에 잘 견디며 내화성이 크기 때문에 석면 대용품으로 건축재료에 많이 사용됩니다. 다만 비중이 일반 섬유에 비해 무겁고 섬유가 잘부서지기 쉽습니다. 


유리 섬유 형태


그라스울은 건축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합니다. 대표적인 재료가 단열재 입니다. 내화성과 단열성이 좋고 인체에 무해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됩니다. 목조주택에 가장많이 사용되며 화재에 약한 샌드위치 판넬 대용으로 그라스울 판넬도 나오고 있습니다.


ISOVER 

아래는 대표적인 그라스울 자재 업체 ISOVER 홈페이지에서 그라스울 생성 과정을 설명을 잘 나타냈습니다.



출처 : http://www.isover.com/

ECOBATT 

시공시 유리섬유에 의한 따가움이 덜합니다.



출처: http://www.ecobatt.us



OWENS CORNING 


출처: http://www.owenscorning.co.kr/





OWENS CORNING 그라스울 시공 영상입니다.

'주택 > 주택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붕마감 자재  (0) 2017.12.16
내부벽체 마감 자재  (0) 2017.12.15
내부바닥 마감 자재  (0) 2017.12.14
외부벽체 마감 자재  (0) 2017.11.28
단열재 종류  (0) 2017.11.28
Posted by 다이하는 남자
주택/주택자재2017. 12. 16. 00:30

지붕마감 자재

 

주택에 사용되는 지붕자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택 시공비에서 지붕 마감은 비중을 많이 차지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자재에대해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지붕 자재에서도 세부적

으로 들어가면 재질과 모양에 따라 여러가지로 나뉩니다. 지붕자재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기와(점토기와, 강판기와)

우리나라의 기와에는 크게 점토기와, 강판기와로 나뉘고 있습니다. 

점토기와는 전통방식으로 흙을 구워서 만드는 기와 입니다. 국내 전통기와,점토기와,유약기와,동 기와 생산업체는 "이화요업", "대동요업" 업체만 알고있습니다. 그 외 스페니쉬 S, U, 평기와는 스페인과, 말레이시아 등 수입되는 기와가 많이 사용됩니다.




스페니쉬 S형 점토기와 시공사진



CS평기와(점토기와) 시공사진


강판기와는 칼라강판을 기와 모양을 낸 것입니다. 가격이 저렴하고 시골에서 슬레이트 지붕을 철거하고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한식기와 모양까지 다양한 모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축 건물 보다는 보수공사 건물에 많이 사용됩니다.



칼라강판기와 시공사진


금속기와 칼라강판은 아연도금 강판에 불소도장을 입힌 강판입니다. 금속기와는 아연도금 강판에 돌가를 붙이고 투명코팅을 다시한 기와이므로 외국과 국내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미관도 화려하여 신축거물에도 많이 사용합니다. 기와의 형태에 따라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금속기와 시공사진



금속기와 시공사진

2.아스팔트 슁글

지붕자재에서 가장 저렴한 자재이며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지붕자재입니다. 내구성도 좋으며 최근에는 여러가지 색상과 형태가 나오고 있습니다.



기본 아스팔트 슁글 시공사진



기와 문양 롤 슁글 시공사진 


3.징크

징크자재는 국내에 들어와서 최근 몇년사이에 일반 건물과 주택에 많이 사용되는 자재입니다. 징크는 티타늄을 주원료로 하는 자재인데 수요가 많아서 유사한 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오리지날징크,리얼징크,칼라강판이 있습니다.



오리지날 징크 국내 수입하는 징크 자재이며 국내 생산 오리지날 징크 자재는 현재 없습니다. 오리지날 징크는 순도99.995%의 아연에 소량의 티타늄과 구리가 첨가된 함금 판재입니다.

제품명

수입국 

특징 

NED 징크 

네덜란드 

 색상이네츄럴 500W, 600W 투명보호필름

VM 징크 

프랑스 

 회색,블랙 500W, 600W 불투명보호필름

EL 징크 

유럽 

 회색,블랙 등 500W, 600W 투명보호필름

doman 징크

그리스 

 색상이네츄럴 500W 투명보호필름

RHEIN징크

독일 

 청회색,흑연색 500W 보호필름없음

ZM징크

폴란드 

 회색,블랙 등 500W, 600W 투명보호필름

 

오리지날 징크는 회색형태를 나타내며 미세한 빗살무늬 형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지붕과 외벽 돌출이음, 외벽 평이음 징크 시공사진



지붕 돌출이음 징크 시공사진



지붕 평이음 시공사진


가장 많이 시공하는 공법은 돌출이음입니다. 외벽과 처마 부분은 평있기로 시공하기도 합니다.

리얼징크 징크의 모양을 낸 아연도금 불소도장 강판입니다. 육안으로 자세히 봐야 구별이 가능합니다. 리얼징크는 징크강판의 빗살무늬도 프린트 하여 실제 징크와 유사합니다. 또한 오리지날 징크 가격에 1/3정도 하므로 국내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칼라강판 리얼징크는 징크의 색상과 모양을 유사하게 구현해 낸것입니다. 칼라강판은 징크의 색상을 유사하게 낸것이 아니라 원색에 가까운 흰색 노랑 등 색깔 코드에 맞게 불소도장한 강판입니다. 가격은 리얼징크보다 좀 더 저렴합니다.

위에 강판기와가 칼라강판입니다.


주택 설계를 할때 오리지날 징크로 할지 리얼징크로 할지 결정해야 합니다. 두개의 단가차이는 배 이상이 차이나기때문입니다. 또한 오리지날 징크로 돼 있지만 시공할때는 시공사가 건축주를 속이고 리얼징크로 공사 할 수 있습니다. 

자재를 봤을때 오리지날 징크가 훨씬 고급스러워 보입니다. 하지만 강판이라고 해서 하자가 많이 나는 것이 아닙니다. 오리지날 징크도 시공을 잘못하면 부식(백화현상)이 일어날수 있습니다. 강판또한 잘못시공하면 부식(녹발생)이 발생하지만 시공을 잘 한 강판은 리얼징크보다 더 오래갈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주택 지붕자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유익한 정보가 되었다면 감사합니다.


'주택 > 주택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열재(인슐레이션 insulation)-유리섬유(그라스 울 Glass Wool)  (0) 2017.12.17
내부벽체 마감 자재  (0) 2017.12.15
내부바닥 마감 자재  (0) 2017.12.14
외부벽체 마감 자재  (0) 2017.11.28
단열재 종류  (0) 2017.11.28
Posted by 다이하는 남자
주택/주택자재2017. 12. 15. 00:30

합지벽지

종이로 만들어진 벽지이며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주택 내부 마감재 입니다. 종이 두겹으로 배접하여 제작 되고 유해물질이 없어 친환경적이며 가격이 저렴하고 통풍성이 좋습니다. 질감, 색감이 실크벽지 처럼 미려하지 않습니다. 종이로만 구성되어 내구성이 약한 단점이 있습니다. 벽지를  5mm정도 겹쳐서 시공하고  합지벽지(종이벽지)는 벽지 뒷면에 풀을 전체적으로 고르게 펴 발라 부착하는 형태입니다. 단순한 패턴으로 문양을 맞추지 않는 벽지도 있고 문양을 맞춰야 하는 벽지로 디자인되어 있습니다.


실크벽지

종이 위에 PVC 코팅을 한 것으로 표면에 질감과 색감등이 다양하며 입체적인 질감또한 표현 할 수 있습니다. 내구성이 강하며 물걸레질이 가능하여 외부오염 제거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비싼 가격이며 통풍성이 좋지 않습니다. 최근에는 코팅면에서 유해 물질이 많이 나와 새집 증후군 같은 질병을 유발하여 기피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앞으로 새로운 제품들이 나오고 있으나 친환경적이고 표현이 다체로운 벽지는 가겨이 다소 높을 것 입니다.

시공방법은 1차 부직포를 붙이고 그 위에 벽지를 띄어 양쪽 끝 부분을 접착하는 방식입니다. 벽지 중간을 만지면 벽면과 이격되있는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V.P도장

V.P(Vinyl Paint)비닐 페인트  비닐수지를 사용한 도료입니다. 건축용어로 사용되는 약자로 V.P도장이라고 합니다. 유성과 수성타입이 있습니다. 냄새 때문에 내부에는 유성보다는 수성도료를 많이 사용합니다. 인테리어 마감용으로 벽면과 천정에 많이 사용되고 목재, 콘크리트, 철재면에도 도장이 가능합니다. 색상또한 다양한 색상으로 배합을 하여 원하는 색상을 쉽게 표현 할 수 있습니다. 

시공은 1차 퍼티로 도장면을 메꾸고 2차로 샌딩작업으로 도장면을 매끄럽게 합니다. 3차로 스프레이 건으로 2회 도장하여 도장 공사를 끝냅니다.


루바

목재 널판을 암, 수형태로 시공 할 수 있도록 가공한 목재 제품입니다. 천연목재로 편백나무(히노끼), 삼나무(시다), 향나무, 전나무(스프러스), 향목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변형된 제품도 나오고 있습니다. 충해에 강하고 약품처리가 없이 사용하여 친환경적입니다. 각 목재 특성에 따라 공기정화 및 스트레스 완화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천연 목재이므로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습기에 약합니다. 


아트월

거실이나 공용부위에 포인트를 주기 위해 하는 인테리어 마감입니다. 벽지, 목재 파벽돌 등 다양한 재료가 사용되며 한가지 재료 뿐만 아니라 패턴 등 건축주의 취향에 맞게 디자인 할 수 있습니다. 다만 고급자재는 금액이 비쌉니다.

'주택 > 주택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열재(인슐레이션 insulation)-유리섬유(그라스 울 Glass Wool)  (0) 2017.12.17
지붕마감 자재  (0) 2017.12.16
내부바닥 마감 자재  (0) 2017.12.14
외부벽체 마감 자재  (0) 2017.11.28
단열재 종류  (0) 2017.11.28
Posted by 다이하는 남자
주택/주택자재2017. 12. 14. 00:29

강화마루

집성목 처럼 작게 분쇄한 목재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성형 프레스로 압축하여 표면에는 코팅을 한 바닥 자재 입니다. 오염에 강하며 유지관리가 쉽습니다. 강화마루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암수 홈으로 결합하는 형태입니다. 시공또한 간편하고 공사기간이 대체로 짧습니다. 온도에의해 수축팽창으로 마루와 마루사이 결합 홈이 벌어질 수 있습니다. 습기에 약하고 열전도율이 낮습니다.


강마루

목재를 겹쳐서 만든 합판형태의 마루 입니다. 합판 표면에는 원목무늬의 필름을 붙여 미관적으로 우수합니다. 접착제를 사용하여 시공하고 최근에는 유해물질이 없는 접착제도 나오고 있습니다. 열전도율이 높고 마감면이 좋으며 다양한 디자인이 많이 있습니다. 습기에 취약합니다.


원목마루

나무의 질감이 그대로 나타나서 고급스러움을 나타내고 친환경적입니다. 재료비가 비싸며 표면이 원목이기 때문에 내구성 및 수분에 취약합니다. 지속적인 유지관리가 필요하며 


모노륨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바닥 마감재입니다. 장판이라고 불리고 원목마루 느낌을 표현한 제품입니다. PVC 소재이어서 청소가 쉽다는 장점이 있고 바닥에 시공할때는 접착제를 사용하기도 하고 사용하지 않을때도 있습니다. 내구성이 강하며 유지관리가 편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데코타일

PVC 소재로 된 바닥마감재로서 모노륨 장판보다 두껍고 더 단단합니다. 나무질감 표현이 좀더 자유롭게 표현되어 있고 한장씩 접착제를 사용해서 바닥에 붙이는 형태입니다. 온도에 따른 수축팽창이 일어나기 때문에 접착제를 잘 사용해야 하며 청소시 물사용을 최소화 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비접착식 자재도 다양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대리석타일

천연 대리석을 얇게 켜서 타일과 접착한 자재입니다. 인조는 타일 표면에 대리석 문양으로 프린트한 모양입니다. 고급스러운 느낌이 들지만 가격이 비싸고 강도가 낮은 편입니다.


폴리싱타일

고온에서 타일을 구워내고 다양한 질감과 색상을 표현할수 있습니다. 표면에 광택이 나서 고급스러움을 유지하며 난방시 열을 오래 가지고 있습니다. 표면이 매끄럽기 때문에 위험하고 가격이 다소 높은 점이 있습니다.

'주택 > 주택자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열재(인슐레이션 insulation)-유리섬유(그라스 울 Glass Wool)  (0) 2017.12.17
지붕마감 자재  (0) 2017.12.16
내부벽체 마감 자재  (0) 2017.12.15
외부벽체 마감 자재  (0) 2017.11.28
단열재 종류  (0) 2017.11.28
Posted by 다이하는 남자
카테고리 없음2017. 12. 13. 00:27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 규준틀(야리가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 : 규준틀

일본어 : 야리가다 遣(や)り形(かた) [야리 : ~하다/가다 : 폼, 형, 틀]


용어 설명: 건물의 위치와 높이, 땅파기의 너비와 깊이 등을 표시하기 위한 가설물로, 보통 수평규준틀과 귀규준틀이 있는데, 건물의 귀퉁이나 그 밖의 요소에 설치하여 공사를 진행랍니다. 귀규준틀과(모서리), 수평규준틀이 있습니다.


국토정보공사에 현황측량 및 지적층량을 요청하면 담당자가 현장에 나와서 경계표시(빨간색 30cm 되는 말뚝을 땅에 박음)를 합니다. 이 경계점을 가지고 설계도면 배치도에서 주변 도로, 건물 들과의 거리를 따져서 규준틀(야리가다)을 설치합니다. 경계말뚝에 실을 걸어서 땅에 1층의 도면을 그리는 것입니다. 높이는 보통 1층 바닥 높이를 기준으로 합니다.











출처 : 건축설계대사전: 도해편


위 그림과 같이 모서리와 코너에 규준틀을 세우고 실을 걸어서 건물의 기초를 잡아갑니다. 규준틀을 잡는 것은 건물을 땅에 어떻게 배치 할 것인가를 결정짓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설계도면을 기준으로 현장에서 경계 지적점을 잘 확인 후 잡아야 합니다. 잘 못 잡았을 경우 준공시점에서 건물을 헐고 다시 지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이상으로 현장용어 규준틀(야리가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현장에서 우리말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Posted by 다이하는 남자
건축/건축용어2017. 12. 12. 00:23


현장에서 사용하는 용어 먹매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현장에서 규준틀(야리가다를) 설치하고 터파기를 하여 기초와 바닥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 먹매김을 할 준비가 완료됩니다. 먹매김은 설계도면상에 벽체와 마감재 등 설계도면 치수를 바닥슬래브에 그려 넣는 것입니다. 먹매김을 정확하게 잘 해야 오차없이 집을 완성 할 수 있습니다.




먹통

위와 사진과 같은 먹통으로 바닥에 먹선을 놓아서 건물의 옹벽이나 벽의 위치를 잡습니다. 먹메김을 하고 난 후에 중요 포인트에는 락카로 칠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바닥 먹매김 


바닥 먹매김을 하면 설계도면대로 벽과 창호 위치 마감선에 대한 디테일한 형상과 치수를 표기합니다.

이상으로 현장용어 먹매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건축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공사란 무엇인가?  (0) 2017.12.09
시행사란 무엇인가?  (0) 2017.12.08
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e)  (0) 2017.12.04
Posted by 다이하는 남자
건축/법령정보2017. 12. 11. 00:23

목재의 방부방충처리 기준

[제정] 2003.12.30. 산림청 고시 2003-86

[개정] 2004.08.30. 산림청 고시 2004-62

[개정] 2006.07.10. 산림청 고시 2006-52

[개정] 2007.11.16.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07-06

[개정] 2009.07.10.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09-03

[개정] 2009.11.17.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09-07

[개정] 2010.11.30.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10-10

[개정] 2011.12.23.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11-04


1(목적) 이 기준은 임산물의 품질향상 및 유통질서를 확립하기 위하여 목재의 방부방충처리기준 등을 정하여 권장함을 목적으로 한다.

2(정의) 이 기준에서 사용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주입처리라 함은 감압 또는 가압 등의 기계적 압력차에 의해 목재 중에 목재방부제를 침투시키는 처리를 말한다.

2. “유성(油性)목재방부제라 함은 원액의 상태에서 사용하는 유상(油狀)의 목재방부제를 말한다.

3. “유용성(油溶性) 목재방부제라 함은 경유, 등유 및 유기용제를 용매로 용해하여 사용하는 목재방부제를 말한다.

4. “수용성(水溶性) 목재방부제라 함은 물에 용해해서 사용하는 목재방부제를 말한다.

5. “유화성(乳化性) 목재방부제라 함은 유성유용성 목재방부제를 유화제로 유화하여 물로 희석해서 사용하는 목재방부제를 말한다.

6. “마이크로나이즈드(Micronized) 목재 방부제라 함은 성분을 초미립자 크기로 기계적으로 분쇄하고 물에 분산시켜 희석해서 사용하는 목재 방부제를 말한다.

7. “방부성능라 함은 목재 부후균에 의한 목재의 열화(劣化)를 목재방부제로 제어시키는 효능 말한다.

8. “철부식성(鐵腐蝕性)”라 함은 목재방부제로 처리된 목재로 인하여 철이 부식되는 정도를 말한다.

9. “흡습성(吸濕性)”라 함은 목재방부제로 처리된 목재가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을 말한다.

10. “침투성(浸透性)”라 함은 목재방부제가 목재에 침투하는 성능을 말한다.

11. “약액(藥液)”라 함은 주입처리에 사용하는 유용성, 수용성, 유화성 목재방부제로 침윤도와 흡수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농도(질량백분율로서 표시)이상의 용액으로 한 것을 말한다.

12. “작업유(作業油)”라 함은 유성목재방부제인 크레오소트유의 주입처리 작업 용액을 말한다.

13. “유화제(乳化劑)”라 함은 유성 및 유용성 목재방부제를 물에 유화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약제를 말한다.

14. “가압식 처리방법이라 함은 KS F 2219(목재의 가압식 방부처리 방)에 의거하여 목재를 밀폐형 주약관(注藥罐)내에 넣고 펌프를 통한 감압과 가압을 실시하여 목재에 방부제를 주입하는 방법을 말한다.

15. “인사이징라 함은 방부제 주입이 어려운 수종에 대하여 방부제를 깊숙이 주입하거나 균질한 방부제의 침윤층을 얻을 목적으로 주입 전에 목재표면을 칼날이나 바늘로 자상(刺傷)는 것을 말한다.

16. “프레커트” “프레보링이라 함은 대상처리 목재의 치수 조정이나 마무리 가공(절삭절단천공 등)을 방부처리 전에 실시하는 행위를 말한다.

17. “배할(背割, 크랙방지선)”이라 함은 방부제 처리도 개선과 목재의 할열(割裂)을 방지할 목적으로 미리 섬유방향으로 톱질을 하는 가공을 말한다.

18. “용적중(容積重, kg/)”이라 함은 목재의 중량(kg)을 그 재적(m3)으로 나눈 값을 말한다.

19. “천공(穿孔)”이라 함은 방부방충처리 시험의 시료를 채취할 목적으로 생장추로 구멍을 뚫어 목재편을 채취하는 것을 말한다.

20. “작업액이라 함은 주입처리에 사용하는 약액으로 지정농도 이상으로 조정된 약제의 용액을 말한다.

21. “전배기(前排氣)”라 함은 주입처리에 있어서 목재 중에 공기를 빼내고 작업액을 다량으로 깊숙히 침윤시킬 목적으로 하는 배기처리를 말한다.

22. “후배기(後排氣)”라 함은 가압처리의 압입공정이 종료된 후 목재의 표층부에 과잉의 작업액을 빼낼 목적으로 하는 배기처리를 말한다.

23. “압입량(壓入量, kg/)”이라 함은 주약관내에서 목재 중에 압입된 작업액의 양으로서 계량탱크의 감량에 의해 간접적으로 측정한다.

24. “주입량(注入量, kg/)”이라 함은 처리 후 목재의 중량과 처리 전 목재의 중량의 차에 의해 구한 값으로 순수한 작업액의 흡수량을 말한다.

25. “침윤도(浸潤度)” 라 함은 방부제의 목재 내 침투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험편의 단면적에 대한 정색면적의 비율을 말한다.

26. “침윤깊이라 함은 방부제의 목재 내 침투깊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시험편에 약액이 침투한 깊이를 mm단위로 나타냄을 말한다.

27. “정색(呈色)”이라 함은 침윤도를 구하기 위해 시험편에 정색시약을 발라서 발색시키는 것을 말한다.

28. “흡수량(吸收量, kg/)” 이라 함은 처리목재의 단위 재적 당 함유된 방부제의 유효성분량을 말한다.

29. “정착(定着)”이라 함은 목재 중에 주입된 방부제 유효성분이 화학반응에 의해 목재의 화학성분과 결합하여 안정화되는 반응으로서 물에 잘 녹지 않는 성분으로 되는 현상을 말한다.

30. “양생(養生)”이라 함은 약액이 주입된 목재에서 방부제성분이 목재조직 속에 정착되도록 일정기간 쌓아놓는 공정을 말한다.

31. “예방구제처리(豫防驅除處理)”라 함은 목재의 썩음이나 해충의 피해를 예방하고 피해를 받고 있는 목재를 보호하기 위하여 부분적으로 방부처리 하는 공정을 말한다.

3(방부처리의 대상) 건축용재는 다음 각호의 1과 같다.

1. 내력부분에 사용하는 목재로서 벽돌콘크리트기타 이와 유사한 함수성 물체에 접하는 부분에 사용하는 목재.

2. 지표면상 1미터 이하의 높이에 있는 기둥가새 및 토대 등 부후의 우려가 있는 곳에 사용하는 목재.

3. 부엌과 욕실부분의 축조 및 상판 등에 사용하는 목재.

4. 지붕재로 사용하는 목재로서 수시로 물을 접하는 풍판, 박공판, 서까래(부연포함), 사래, 평고대 등에 사용하는 목재.

5. 땅에 묻히거나 땅과 접하고 있거나, 물과 접하고 있는 기초공사용 피어(pier)부교잔교선창 등에 사용하는 목재.

6. 냉동 창고와 같이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에 의해 결로가 생기기 쉬운 곳에 사용하는 목재.

토목용재는 다음 각호의 1과 같다.

1. 철도 목침목 : 교량침목, 분기침목, 이음매침목, 지하철 단목 등으로 KS F 3005 (가압식 크레오소트유 방부처리 침목)에 의해 처리하는 목침목.

2. 교량 : 목조교량의 다리발, 도리 및 들보.

3. 토류판 : 지하철공사, 도로공사 및 건축공사 등에 사용하는 흙받이용 목재로 3년 이상 계속해서 사용해야 할 목재.

4. 사방공사용 목재 : 목재를 사용하는 사방공사 용재로 내구연한 3년 이상을 요구하는 목재.

5. 항목 : 물에 잠기는 목재.

6. 갱목 : 광산에서 내구연한 1년 이상을 요구하는 갱도용 목재.

공업용재는 다음과 같다.

전선드럼, 파렛트, 오니처리장 교반용재, 냉각탑재, 전주, 기계받침목 등.

조경용재는 다음 각호의 1과 같다.

1. 토공시설 : 목책, 목보도, 목블럭, 옹벽, 토류판, 화단, 모래밭 경계, 데크, 계단, 방음벽 등.

2. 휴양시설 : 정자, 휴게실, 전망대, 산막, 방가로, 야외탁자, 야외 벤취, 파고라, 목교 등

3. 놀이시설 : 복합놀이시설, 그네, 미끄럼틀, 시이소, 평균대, 균형잡기대, 철봉대 등.

4. 교양시설 : 야외극장, 야외음악당, 야외관람석 등.

5. 편의시설 : 화장실, 시계탑, 음수대, 버스승강장, 가로등 등.

6. 관리시설 : 매표소, 안내판, 전화부스, 쓰레기통, 수목지주대 등.

<!--[if !supportEmptyParas]--> <!--[endif]-->

4(목재의 사용환경범주와 방부처리 품질기준 등) 목재의 사용환경범주는 다음 각호와 같이 H1H5 사용환경으로 구분하며 환경별 사용가능 방부제 등은 별표 1과 같다.

1. H1 사용환경

. 사용환경은 건조한 실내조건이다.

. 적용대상은 비나 눈을 맞지 않기 때문에 부후흰개미피해의 우려는 없으나, 건재해충에 대한 방충성능과 변색 오염균(곰팡이)에 대한 방미(防黴)성능을 필요로 하며 가구벽체 프레임천장재천장 판넬 및 플로어링 등이다.

2. H2 사용환경

. 사용환경은 비와 눈을 맞지는 않으나 결로(結露)의 우려가 있는 조건이다.

. 적용대상은 내장재로 습한 곳에 사용되는 벽체 프레임지붕재플로어링 등이 포함된다.

3. H3 사용환경

. 사용환경은 야외에서 눈비를 맞는 곳에 사용하는 목재로 내구성이 요구되며 부후흰개미 피해의 우려가 있는 조건이다.

. 적용대상은 야외 또는 습윤에 항상 노출되는 경우로 땅과 접하지 않아도 장기간 견디어 주기를 기대할 때 또는 야외이거나 습윤에 수시 노출되는 경우로 장기간의 효과를 기대할 때 사용되는 목재로 토대용 목재담장방음벽야외접합부재금속 피복재파고라놀이시설야외용의자통나무 등 지상부의 조경용재농용재건축구조물 부재 및 외벽재 등이 포함된다.

4. H4 사용환경

. 사용환경은 토양 또는 담수(淡水)와 접하는 곳 등에 사용되는 목재로 부후흰개미 피해의 우려가 있는 곳에서 고도의 내구성이 요구되는 조건이다.

. 적용대상은 냉각탑재와 같이 항상 물과 접하는 목재오니처리장의 교반용재전주펜스지주목항목조경시설재철도침목담수잔교옹벽용재토사방지사방용재강널말뚝 등이 포함된다. 다만 크레오소트로 처리된 목재는 사람과 직접 접촉이 되지 않는 철도침목, 항만공사 등 산업재로만 사용해야 한다.

5. H5 사용환경

. 사용환경은 바닷물과 접하는 곳 등에서 사용되는 목재로 해양천공충에 대한 고도의 내구성이 요구되는 조건이다.

. 적용대상은 부두의 항목용재선박용 부교 및 잔교해안 토사유출방지 옹벽재 등이 포함된다. 다만 크레오소트로 처리된 목재는 사람과 직접 접촉이 되지 않는 철도침목, 항만공사 등 산업재로만 사용해야 한다.

방부처리 방법의 선택은 방부처리 대상 목재의 용도, 희망하는 내구연한, 목재 함수율의 높고 낮음, 방부처리 환경, 방부처리 비용, 방부제의 종류, 방부제의 농도관리의 각종 조건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적정한 방법을 선택하되 H2H5 사용환경의 적용대상 목재는 가압방부 처리를 하여야 한다.

사용환경별 방부처리재의 침윤도 적합기준은 별표 2와 같으며 흡 수량 적합기준은 별표 3과 같다.

5(목재방부제 및 품질) 사용환경범주별 적용 방부제의 종류 및 기호는 별표 4와 같다.

목재방부제별 품질은 다음과 같다. 다만, 발수제는 방부처리 후 목재의 표면보호제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 기준에서는 방부제로 보지 아니한다.

1. 수용성 목재방부제

. 구리알킬암모니움 화합물계의 품질은 별표 5와 같다.

. 크롬플루오르화구리아연화합물계의 품질은 별표 6과 같다.

. 산화크롬구리화합물계의 품질은 별표 7과 같다.

. 크롬구리붕소화합물계의 품질은 별표 8과 같다.

. 구리아졸화합물계의 품질은 별표 9와 같다.

. 구리사이크로헥실다이아제니움디옥시-음이온 화합물계 의 품질은 별표 10과 같다.

. 붕소붕산화합물계의 품질은 별표 11과 같다.

. 알킬암모니움 화합물계의 품질은 별표 12와 같다.

2. 유화성 목재방부제

지방산 금속염계의 품질은 별표 13과 같다.

3. 유용성 목재방부제

. 유기요오드화합물계의 품질은 별표 14와 같다.

. 유기요오드인화합물계의 품질은 별표 15와 같다.

. 지방산 금속염계의 품질은 별표 16과 같다.

. 테부코나졸프로피코나졸3-요오드-2-프로페닐부틸카바메이트의 품질은 별표 17과 같다.

4. 유성 목재방부제

크레오소트유의 품질은 별표 18과 같다.

5. 마이크로나이즈드 목재 방부제

마이크로나이즈드 구리 알킬암모늄화합물의 품질은 별표 19과 같다.

목재방부제의 성능기준은 별표 20과 같다.

신규 목재방부제의 등록은 다음과 같다.

1. 신규 목재 방부제는 국제기준에 만족하는 외국 기관의 시험 결과, 외 승인자료 및 2개 이상의 국내기관의 시험 결과 그리고 물질안전보건자료(MSDS)를 국립산림과학원에 제출한다.

2. 제출된 서류는 국립산림과학원 예규 199호 목재보존심의위원회운영규정에 의거하여 심의하여 의결한다.

6(장치 및 기구) 방부처리 장치 및 기구는 다음 각호와 같다.

1. 주약관 : 감압은 게이지압력 -66.7kPa(500mmHg)이상, 가압은 980.7kPa(10kg/)이상에 견딜 수 있는 것으로서, 자기기록진공계, 자기기록압력계 및 안전콕크를 갖추어야 한다.

2. 저장탱크 : 주약관 용량에 대하여 100%이상의 용량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3. 계량탱크 : 1회 주입량 이상의 약액용량을 갖고 있어야 하며, 압입량의 계량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다만, 계량기가 설치된 탱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4. 진공펌프 : 감압 -66.7kPa(500mmHg)이상의 능력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5. 가압펌프 : 가압 980.7kPa(10kg/)이상의 능력을 갖춘 것이어야 한다.

제품시험의 종류별 사용장치 및 기구 등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재질 및 형상의 시험 : 캘리퍼, 직각자, 곧은자, 권척 및 섬유주향측정용구

2. 용적중 및 함수율의 시험 : 중량측정용 저울, 함수율측정기, 생장추

3. 작업액 농도의 시험 : 비중계, 사용방부제와 관련된 농도측정이 가능한 기구 또는 시약

4. 침윤도 측정 : 사용방부제와 반응하여 육안식별이 가능한 발색단을 갖는 정색시약

5. 흡수량 시험 : 사용방부제의 정량분석이 가능한 분자흡광광도계, 원자흡광광도계, 무기물형광분석계 또는 유도결합프라즈마분광광도계 중에서 1종 이상

6. 기타 : 화학천칭, 가열장치, 항온건조기 등

7(시설기준) 목재방부제중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유독물에 해당하는 방부제는 같은 법의 관리규정에 따라야 한다.

공장 환경은 다음 각호의 1과 같다.

1. 공장부지, 건물, 제조시설, 통로 등은 작업효율, 작업자의 안전, 위생관리 등을 고려하여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며 또한 제조시설은 공간을 적절히 배치하여 폐기물분진배기폐수 등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지 않도록 한다.

2. 옥내외 작업장(보관장소, 통로, 운반로, 주차장 및 제품의 상차장)에는 폐액 등이 지하로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로 포장을 한다.

3. 방부제를 취급하는 시설(주약관, 저장탱크, 계량탱크, 용해탱크, 회수탱크, 계량기 등)주변은 방부제의 외부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벽이나 도랑을 설치하여야 하며, 물매를 주어서 집수가 가능하게 하고, 이를 회수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4. 공장 내에서 발생되는 폐수의 처리는 수질환경보전법의 관계규정에 따라야 한다.

5. 공장 내에서는 방부제의 안전관리및 작업자의 안전과 화재예방 등을 위하여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소방시설유지및안전관리에관한법률, 위험물안전관리법 등의 관련규정에 따라야 한다.

작업장의 환경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작업장의 면적은 필요한 설비의 설치 및 작업을 하는데 불편이 없을 정도로 넓어야 한다.

2. 작업장내에 고농도 오염구역(주약관, 저장탱크, 계량탱크, 용해탱크, 회수탱크, 계량기 등)은 백색으로, 저농도 오염구역(임시보관장소, 양생장 또는 양생촉진시설 등)은 밝은 황색으로, 비오염구역(방부처리하지 않은 목재 및 양생완료 목재 취급장소)은 밝은 녹색으로 작업구역별로 선을 그어 구분하고, 작업장별로 사용기기 및 작업도구 등을 구분하여 사용한다.

3. 작업장의 바닥은 폐액이 지하로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로 포장하고 배수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4. 작업장의 조명과 환기 장치가 적절하게 설치되어야 한다.

5. 유해분진증기냄새 등을 배출하는데 적절한 배기시설이 필요하다.

6. 유성 또는 유용성 방부제를 취급하는 시설 주변에는 고온 가스의 인화 폭발사고 등에 대한 대비를 철저히 하여야 한다.

7. 작업장에는 항상 손을 씻을 수 있는 세면대가 있어야 한다.

8. 작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의 처리는 폐기물관리법의 규정에 따라야 한다.

보관시설은 다음 각호와 같다.

1. 목재보관시설

. 재료의 반입과 반출이 용이하도록 하여야 한다.

. 실내 보관 장소는 공기의 순환이 잘 되도록 환풍기 등 환기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2. 목재방부제 보관시설

. 방부제 중 유해화학물질관리법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유독물에 해당하는 방부제의 관리는 동법의 관리규정에 따라야 한다.

. 유성 또는 유용성 목재방부제는 인화의 위험이 있으므로 소방시설유지및안전관리에관한법률, 위험물안전관리법의 규정에 정한 소방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3. 방부처리 목재보관시설

. 하역작업이 용이하도록 공간의 여유가 있어야 한다.

. 제품보관시설의 바닥은 지게차 등 장비의 통행이 용이하도록 견고히 시공되어야 한다.

. 제품보관은 종류별, 처리(제조)연월일별로 구분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양생시설

. 방부제 주입처리가 종료된 목재의 양생시설은 비와 눈을 피할 수 있는 지붕을 반드시 설치하여야 한다.

. 작업장의 바닥은 폐액이 지하로 스며들지 않도록 방수콘크리트 또는 합성수지로 포장하고 배수가 용이하도록 시설하여야 하며 바닥에는 배수구를 설치하여 폐액을 회수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8 (인사이징) 단순가압처리에 의해 별표 2의 침윤도 적합기준을 만족하기 어려운 수종들은 약액을 주입하기 전에 인사이징 가공 등의 전()가공을 하여야 한다. 다만, ()가공에 의한 강도저하는 처리 전 목재보다 휨강도 및 휨탄성 계수가 모두 10% 이하이어야 한다.

인사이징기의 기준 및 성능은 다음과 같다.

1. 인사이징기

. 처리가능 치수는 최소한 두께 4cm 제재 처리가 가능한 것.

. 수종 및 칼날에 관계없이 언제나 깊이 10mm이상 얻어지는 것.

. 칼의 교환 및 칼의 밀도 변경 등의 조작이 용이한 것.

. 목재의 치수 차이가 있는 것과 약간의 둥근모가 있는 것이라도 양호하게 가공되는 것.

2. 인사이징 칼날형 및 밀도

. 인사이징 칼날은 원칙적으로 깊이 10mm이상, 1015mm 및 두께 24mm의 것.

. 방부액주입이 잘 안되는 수종은 인사이징 밀도를 높일 것(토대의 경우 표준 : 인사이징 수/).

(1)미국솔송나무(햄록), 아피통, 소나무, 잣나무 : 3,500 4,800

(2)낙엽송, 가문비나무, 미송 : 4,800 9,000

3. 인사이징 가공

. 목재의 건조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방부처리 전 상태에서 실시하며 건조 시에는 사이대()를 넣고 건조한다.

. 원칙적으로 4개 재면에 대하여 실시한다.

. 재면은 박리(剝離), 모서리부분의 결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인사이징 가공은 결점으로 보지 않는다.

4. 인사이징기의 보수관리

. 칼날에 목편 및 빠진옹이가 부착된 경우는 곧바로 떼어내야 한다.

. 칼날이 마모되거나 결손되면 빨리 교환한다.

9(방부제 작업액 및 목재함수율) 방부제 작업액은 다음과 같이 한다.

1. 작업액의 조정은 다음에 의한다.

. 목재의 사용환경범주의 범위에 적합한 흡수량을 얻을 수 있도록 농도를 조절하여 만든다.

. 작업액량은 항상 충만용 또는 압입용의 확보에 유의해야 하며 다음 작업에 필요한 량을 저장탱크, 작업탱크, 계량탱크 중 1개소 이상에 보충하여야 한다.

2. 작업액의 침전방지 및 조성비율 유지는 다음에 의한다.

. 여름철 액온 상승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옥외저장탱크 및 작업탱크는 표면을 은색으로 도장한다.

. 크레오소트유를 사용하는 공장은 스팀배관과 수용성방부제의 배관이 접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생재의 처리는 피한다.

. 원칙적으로 압입량으로 관리를 하며 소정의 압입량에 도달되면 가압조작을 정지한다.

. 주입조작이 끝나면 될 수 있는 한 빨리 약액을 회수한다. 가압조작이 야간에 이루어질 때는 자동회수장치를 부착하거나 이를 대체할 수 있는 기계 취급조(12)가 상주하여야 한다.

3. 작업액의 농도관리는 다음에 의한다.

. 작업액의 성분비에 의한 농도관리

(1) 12회 정량분석을 하고 농도 및 각 성분비를 확인한다.

(2) 정량분석 결과 농도 및 성분이 기준을 초과하거나 미달 될 때에는 곧바로 약액을 보정(補正)한다.

. 작업액의 비중에 의한 관리

(1) 온도별 비중을 비중병 또는 0.001 눈금의 비중계로 측정하여 농도 관리표를 작성해 둔다.

(2) 일상 작업액의 농도관리는 비중으로 하며 비중 측정은 작업시의 비중병 또는 비중계로 측정하고 기 작성된 농도 관리표에 의해서 작업액의 농도를 확인 후 부적정한 경우에는 곧바로 보정한다.

목재함수율은 다음과 같이 처리 전과 처리 후로 구분한다.

1. 방부처리 전 목재함수율 : 방부처리 전 목재의 함수율은 평균 30% 이하가 되도록 한다. 다만, 확산법으로 처리할 목재는 함수율이 80%이상인 생재, 살수 또는 물에 침지시켜 두었던 목재를 사용한다.

2. 방부처리 후 목재함수율 : 방부처리 후 인공열기건조를 한 것으로 목재함수율 25% 미만은 건조제품으로, 목재함수율 25% 이상은 비건조제품으로 한다.

3. 함수율의 측정방법

. 전건법 : 시료를 생장추로 천공 또는 절단한 후 채취하여 곧바로 중량을 유효숫자 3자리까지 측정하고, 105에서 중량의 변화가 더 이상 없을 때까지 건조시킨 후 다시 중량을 유효숫자 3자리까지 측정한다. 전건법에 의한 함수율의 산정은 다음 식에 의한다.

함수율(%)= {(W1-W2)/W2}×100

여기에서 W1: 건조전의 중량(g), W2: 건조후의 중량(g)

시료는 여러 곳에서 채취하고 그 평균치를 함수율로 한다.

. 함수율측정기에 의한 측정방법 : 전극의 방향은 섬유방향과 일치되게 하고, 침이 들어가는 깊이는 목재 두께의 20~25% 깊이까지로 하며, 옹이, 할열(割裂), 썩음 등의 결점이 없는 부위를 선별하여 측정한다. 측정 점은 될 수 있으면 많이 하고 그 평균치로 함수율을 구한다.

10 (방부처리 방법) 가압식 주입처리 방법은 KS F 2219(목재의 가압식 방부처리)에 준한다. 다만, 주입처리의 목적은 소정의 침윤도 및 흡수량을 얻는데 있으므로 수종, 변재 및 건조정도 등에 의해 압력 및 시간을 달리하여야 하며 수종별 표준작업조건은 별표 20과 같다.

확산법에 사용할 붕소붕산화합물계 목재방부제는 별표 10과 같으며 사용농도는 30% 이상의 것을 준비한다. 처리방법은 붕소붕산화합물계 목재방부제에 침지 또는 도포한 후 즉시 수평으로 쌓고, 방수포 등으로 외부와 수분이 차단될 수 있도록 피복하여 3주 이상 그 상태로 유지시킨 후 피복물을 제거하고 1개월 이상 건조시켜야하며, 처리된 제품은 사용환경범주 H1 사용환경에 사용할 수 있다.

침지처리로 상압처리에 사용하는 목재방부제는 수용성인 AAC와 유용성인 IPBC IPBCP이며 처리제품은 사용환경범주 H1 사용환경에 사용할 수 있다.

도포처리에 사용하는 목재방부제는 유용성인 IPBC IPBCP이며 예방구제처리를 목적으로 하는 부분에만 사용할 수 있다.

현장에서의 방부처리는 다음 각호와 같다.

1. 원칙적으로 허용되지 않으나, 부득이하게 방부처리재의 절단가공 및 천공 등으로 미처리된 부분이 노출되었을 때는 현장 방부처리를 해주어야 한다.

2. 방부처리 방법과 처리방부제는 제4항과 같다.

주입량 및 압입량은 다음에 의한다.

1. 목재의 사용환경범주에 적합한 침윤도를 얻기 위해서는 압입량은 주입량의 1.2배 이상이어야 한다.

                   T2 - T1

주입량(kg/) = ──────────

                      주입전의 목재재적()


T1: 주입전의 목재무게 (kg)

T2: 주입후의 목재무게 (kg)


                W2 - W1

압입량(kg/) = ──────────

                    주입전의 목재재적()


W2: 가압시작시의 목재무게 (kg)

W1: 가압종료시의 목재무게 (kg)

2. 사용환경범주에 적합한 방부제흡수량은 원칙적으로 작업액의 농도로 조절한다.

11 (양생) 수용성 목재방부제중 크롬화합물을 함유하는 방부제로 처리한 목재의 양생은 다음과 같이 하여야 하며 별표 21의 방부처리 작업일지를 비치하고 주약에서부터 출하까지의 전 과정에 대한 기록을 반드시 하여야 하며 원료 등에 관한 각종 기록물은 3년간, 작업일지는 5년간 보존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1. 침전물의 제거 및 잉여 주약액의 회수

. 주약관에서 꺼낸 목재는 필요에 따라서 목재표면을 물로 닦고 임시보관 장소로 옮긴 후 작업액이 밖으로 빠져 나오지 않을 때까지 임시보관 한다.

. 임시보관이 끝나면 양생장소로 이동 시킨 후 양생한다.

2. 양생기간

. 처리 후 자연양생공정으로는 3주 이상의 양생기간을 거쳐야 한다.

. 목재용 인공열기건조 또는 증기 양생실을 이용하여 촉진양생을 할 수 있다.

. 촉진양생 중에는 처리목재의 표면과 내부의 습도에 차이가 심하면 표면의 약액이 빨리 양생되므로 다습한 상태에서 건조하여야 한다. 건조온도는 55이상 60이하를 유지하면서 촉진양생 공정으로 3일 이상의 양생기간을 가져야 한다.

3. 임시 보관 장소 및 양생장소

. 임시보관 장소 및 양생장소는 비와 눈을 피할 수 있는 지붕을 설치하여야 하고, 지면은 물매를 주어 폐액이 배수구와 집수정으로 흘러들게 하여 최종적으로 경사구를 통해 자동적으로 한 곳에 모이도록 한다.

. 임시 보관 장소는 8시간 생산량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이 필요하다.

. 양생장소는 3주간 생산량을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이 필요하다(면적 1는 목재 3를 양생하는 것을 기준으로 한다).

4. 인공열기건조 또는 증기 양생실

. 인공열기건조 또는 증기 양생실은 3일간 생산량을 양생할 수 있는 시설이 필요하다.

. 증기양생실의 모형은 별표 22과 같으며 지면에 배수구와 집수정을 갖추어야 하고 두 겹 이상의 텐트 또는 밀폐형 콘센트 구조물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증기보일러 시설과 연결된 구멍이 뚫려 있는 파이프를 통해 증기를 배출하여 내부온도가 55이상 60이하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12 (품질시험) 방부처리목재에 대한 품질검사 및 시험은 산림자원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39(임산물의 규격고시)에 따라 국립산림과학원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제재규격에 의거 결함을 검사하며, 침윤도 및 흡수량에 대한 품질시험은 국립산림과학원장이 정하여 고시하는 방부방충처리목재의 침윤도 및 흡수량 측정방법에 의한다.

13 (처리제품의 표시 등) 방부방충처리된 제품의 표시방부목재의 규격과 품질9(품질표시)에 의한다.


부 칙

(시행일) 이 기준은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이 고시의 시행과 동시에 산림청 고시 2010-10(2010.11.30)호를 폐지한다.

<별표 1>

<별표 2>

침윤도 적합기준

사용환경범주

구분

적합기준

재종

측정부위

측정부위의 침윤도(%)

재면으로부터 침윤깊이(mm)

H1

-

-

BB:변재의

90 이상

IPBC, IPBCP, AAC: 1 이상

H2

변재

변재부분의 전층

80 이상

-

심재

재면에서 10mm 까지

50 이상

5 이상

H3

변재

변재부분의 전층

80 이상

-

심재

재면에서 10mm 까지

80 이상

8 이상

H4

변재

변재부분의 전층

80 이상

-

심재(두께 90mm

이하 제재)

재면에서 10mm 까지

80 이상

8 이상

심재(두께 90mm

이상 제재)

재면에서 15mm 까지

80 이상

12 이상

H5

변재

변재부분의 전층

80 이상

-

심재(두께 90mm

이하 제재)

재면에서 15mm 까지

80 이상

12 이상

심재(두께 90mm

이상 제재)

재면에서 20mm 까지

80 이상

16 이상

<별표 3>

흡수량 적합기준

사용환경범주

사 용 목 재 방 부 제

흡수량 적합기준

(구성 주성분으로서 흡수량 기준)

방 부 제 명

기호

H1

붕소 화합물

BB

적합기준 없음.

유기요오드계 화합물

IPBC

유기요오드인계 화합물

IPBCP

알킬암모늄화합물

AAC

H2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

ACQ

1.3kg/이상

크롬플루오르화구리아연화합물

CCFZ

4.0kg/이상, 12.0kg/이하

산화크롬구리화합물

ACC

4.5kg/이상, 16.0kg/이하

크롬구리붕소화합물

CCB

4.5kg/이상, 16.0kg/이하

나프텐산구리

NCU

구리로서 유제(油劑)0.4kg/이상,

유제(乳劑)0.5kg/이상

나프텐산아연

NZN

아연으로서 유제(油劑)0.8kg/이상,

유제(乳劑)1.0kg/이상

구리아졸화합물

CUAZ-1

1.3kg/m3 이상

CUAZ-2

0.5kg/m3 이상

CUAZ-3

0.96kg/m3 이상

구리사이크로핵실다이아제니움디옥시-음이온화합물

CuHDO-1

2.0kg/m3 이상

CuHDO-2

1.24kg/m3 이상

CuHDO-3

0.92kg/m3 이상

마이크로나이즈드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

MCQ

1.3kg/이상

H3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

ACQ

2.6kg/이상

크롬플루오르화구리아연화합물

CCFZ

6.0kg/이상, 18.0kg/이하

산화크롬구리화합물

ACC

6.0kg/이상, 24.0kg/이하

크롬구리붕소화합물

CCB

6.0kg/이상, 24.0kg/이하

나프텐산구리

NCU

구리로서 유제(油劑)0.8kg/이상,

유제(乳劑)1.0kg/이상

나프텐산아연

NZN

아연으로서 유제(油劑)1.6kg/이상,

유제(乳劑)2.0kg/이상

구리아졸화합물

CUAZ-1

2.6kg/m3 이상

CUAZ-2

1.0kg/m3 이상

CUAZ-3

0.96kg/m3 이상

구리사이크로핵실다이아제니움디옥시-음이온화합물

CuHDO-1

3.0kg/m3 이상

CuHDO-2

1.24kg/m3 이상

CuHDO-3

0.92kg/m3 이상

테부코나졸프로피코나졸3-요오드-2-프로페닐부틸카바메이트

Tebuconazole, Propiconazole, IPBC

0.23kg/m3 이상

마이크로나이즈드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

MCQ

2.6kg/이상

H4

크레오소오트유

A

80.0kg/이상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

ACQ

5.2kg/이상

플루오르화구리아연화합물

CCFZ

8.0kg/이상, 24kg/이하

산화크롬구리화합물

ACC

9.0kg/이상, 24kg/이하

크롬구리붕소화합물

CCB

9.0kg/이상, 24kg/이하

구리아졸화합물

CUAZ-1

5.2kg/m3 이상

CUAZ-2

2.0kg/m3 이상

CUAZ-3

2.4kg/m3 이상

구리사이크로핵실다이아제니움디옥시-음이온화합물

CuHDO-1

4.0kg/m3 이상

CuHDO-2

2.48kg/m3 이상

CuHDO-3

1.85kg/m3 이상

마이크로나이즈드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

MCQ

5.2kg/이상

H5

크레오소오트유

A

170.0kg/이상


<별표 4>

목재방부제의 종류 및 기호

구 분

종 류

기 호

수용성

목재방부제

구리알킬암모니움화합물계

1

ACQ-1

2

ACQ-2

크롬플루오르화구리아연 화합물계

CCFZ

산화크롬구리화합물계

ACC

크롬구리붕소화합물계

CCB

구리아졸화합물계

1

CUAZ-1

2

CUAZ-2

3

CUAZ-3

구리사이크로핵실다이아제니움디옥시-음이온화합물계

1

CuHDO-1

2

CuHDO-2

3

CuHDO-3

붕소붕산화합물계

BB

알킬 암모니움 화합물계

AAC

유화성

목재방부제

지방산 금속염계

NCU

NZN

유용성

목재방부제

유기요오드화합물계

IPBC

유기요오드인화합물계

IPBCP

지방산 금속염계

NCU

NZN

테부코나졸프로피코나졸3-요오드-2-프로페닐부틸카바메이트

Tebuconazole, Propiconazole, IPBC

유성

목재방부제

크레오소트유

1

A-1

2

A-2

마이크로나이즈드 목재방부제

마이크로나이즈드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

MCQ

<별표 5>

구리알킬암모니움 화합물계 목재방부제의 품질

항 목

약 제 명

ACQ-1(1)

ACQ-2(2)

유효

성분의

배합비

구리화합물(CuO로서) wt%

53~59

62~71

N-디메칠벤질알킬암모니움클로라이드(DBAC)wt%

41~47

-

디데실디메칠암모니움클로라이드

(DDAC) wt%

-

29~38

유효성분의 함유량 wt%

16이상으로, 그 표시 함유량이상

13이상으, 그 표시함유량이상

제품의 상태

액상

물에 녹지 않는 양 wt%

1 이하

pH

9.5~11.0

<별표 6>

크롬플루오르화구리아연화합물계 목재방부제의 품질

항 목

약 제 명

CCFZ

유효성분

배합비

규플루오르화구리(CuSiF64H2O) wt%

15~19

규플루오르화아연(ZnSiF66H2O) wt%

17~23

2크롬산 암모니움[(NH4)2Cr2O7] wt%

57~69

유효성분의 함유량 wt%

90 이상

플루오르 함유량 (F로서) wt%

11 이상

제품의 상태

고형

물에 녹지 않는 양 wt%

1 이하

pH

3.0~4.0

항 목

약 제 명

CCB

유효

성분의

배합비

2크롬산나트륨(Na2Cr2O72H2O) wt%

32.5

황산구리(CuSO45H2O) wt%

32.3

붕산(H3BO3) wt%

35.2

제품의 상태

고형

물에 녹지 않는 양 wt%

1 이하

pH

3.0~4.5

<별표 9>

구리아졸화합물계 목재방부제의 품질

항 목

약 제 명

CUAZ-1

(1)

CUAZ-2

(2)

CUAZ-3

(3)

유효

성분의

배합비

구리화합물(CuO로서) wt%

53~57

98.6~99.0

95.8~96.6

붕소화합물(H3BO3) wt%

40~46

-

-

테부코나졸(tebuconazole) wt%

1.6~2.4

-

1.7~2.1

사이프로코나졸(cyproconazole)wt%

-

1.0 ~ 1.4

<!--[if !supportEmptyParas]--> <!--[endif]-->

프로피코나졸(propiconazole) wt%

-

-

1.7~2.1

유효성분의 함유량 wt%

표시된 함유량 이상. 20% 이상

표시된 함유량 이상. 11% 이상

표시된 함유량 이상. 10% 이상

제품의 상태

액상

물불용해분 wt%

1 이하

pH (2%농도로서)

9.0~10.0

8.7~9.3

9.0~10.0


<별표10>

구리사이크로핵실다이아제니움디옥시-음이온화합물계 목재방부제의 품질

항 목

약 제 명

CuHDO-1

(1)

CuHDO-2

(2)

CuHDO-3

(3)

유효

성분의

배합비

구리화합물(CuO로서) wt%

60~68

58~59

77~78

붕소화합물(H3BO3) wt%

20~22

24~25

-

N-사이크로핵실다이아제니움디옥시-아니온(HDO) wt%

14~16

17~18

22~23

유효성분의 함유량 wt%

10 이상으로,

그 표시 함유량 이상

16 이상

12 이상

제품의 상태

액상

액상

액상

물불용해분 wt%

1 이하

1 이하

1 이하

pH (2%농도로서)

9.0 ~ 10.0

9.6

9.6

항 목

약 제 명

BB

유효성분의

배합비

붕산(H3BO3) wt%

50.0

붕사(Na2B4O710H2O) wt%

50.0

제품의 상태

고형

물에 녹지 않는 양 wt%

1 이하

pH

3.0~4.5

<별표 12>

알킬암모니움 화합물계 목재방부제의 품질

항 목

약 제 명

AAC

유효성분의 배합비

30~55

제품의 상태

액상

물에 녹지 않는 양 wt%

1 이하

pH

5.0~8.0

<별표 14>

유기요오드화합물계 목재방부제의 품질

항 목

약 제 명

IPBC

유효성분의 함유율

3-요오드-2-프로페닐부틸카바메이트 wt%

98%

제품의 상태

백색분말

<별표 15>

유기요오드인화합물계목재방부제의품질

항 목

약 제 명

IPBCP

유효성분의

함유율

3-요오드-2-프로페닐부틸카바메이트 wt%

0.25

0,0-디에틸-3,5,6-트리클로로-2-피리딜 포스포로티오레이트 wt%

1.00

제품의 상태

액상

용 매

석유화합물계


항 목

약 제 명

NCU

NZN

유효성분의

함유율

나프텐산구리(Cu로서) wt%

6.0~6.6

-

나프텐산아연(Zn으로서) wt%

-

8.0~8.8

지방산의 산가(KOH로서) mg

180~300

180~300

제품의 상태

액상

pH

6.67.0

<별표 17>

테부코나졸프로피코나졸3-요오드-2-프로페닐부틸카바메이트 목재방부제의 품질


항 목

약 제 명

TebuconazolePropiconazoleIPBC

유효성분의

함유율

테부코나졸 wt%

0.33

프로피코나졸 wt%

0.33

3-요오드-2-프로페닐부틸카바메이트 wt%

0.33

프로파놀 (2-methoxymethylethoxy propanol)

<2

페트롤리움 (hydrotreated heavy Petroleum: Naphtha)

8595

제품의 상태



<
별표 18>

마이크로나이즈드 구리 알킬암모늄 화합물목재 방부제의 품질


항 목

약 제 명

MCQ

유효성분의 함량

마이크로나이즈드 구리 화합물

(CuCO3) 수용액 분산 상태 wt%

50 70 %

N-N 디알킬 N-N 디메칠벤질알킬암모니움카보네이트(DBACarbonate) wt%

50 %

pH

마이크로나이즈드 구리 화합물

(CuCO3) 수용액 분산 상태 wt%

9.21

N-N 디알킬 N-N 디메칠벤질알킬암모니움카보네이트(DBACarbonate) wt%

9 11


<별표 19>

크레오소트유 목재방부제의 품질


항 목

약 제 명

A-1(1)

A-2(2)

비중(40/4)

1.03 이상

1.03 이상

수분(vol %)

3 이하

엥글라 점도(40/20)

2.0 이하

2.5 이하

증류시험(탈수시료에 대하여) vol %

235까지의 유출량

25 이하

-

235315사이의 유출량

40 이상

-

315까지의 유출량

50 이상

45 이상

235~315유분의 비중(40/4)

1.02 이상

-

톨루엔 불용분 (탈수시료에 대하여) wt %

0.5 이하

1.0 이하

유동성시험 (32, 2hr.)

현저한 고형물이

생성되지 않을 것

-


크레오소트로 처리된 목재는 사람과 직접 접촉이 되지 않도록 산업재로만 사용해야 한다.

목재방부제의 성능기준

성 능

항 목

성능기준치

방 부 성 능

평균 무게감소율 %

3.0 이하

철 부 식 성

철부식비

2.0 이하

흡 습 성

흡습비

1.2 이하

침 투 성

평균 흡수량비

0.5 이상

유 화 성

초기안정성

분리율 vol/wt %

어떠한 온도에 대하여서도 1.0 이하

장기보존 안정성

분리율 vol/wt %

어떠한 온도에 대하여서도 1.0 이하

반복사용 약액의

안정성

분리율 vol/wt %

어떠한 온도에 대하여서도 1.0 이하

유효성분의 잔존율

wt %

100±10

<별표 21>

수종별 표준작업조건

수 종

용적량

(kg/)

인사이징

(칼수/)

전배기

(600mmHg)

가압

(15kg/)

후배기

(600mmHg)

정지

()

압입량

(kg/)

주입량

(kg/)

햄록

550600

3,500

30

3시간

30

30

250300

200300

아피통

720970

200250

160210

소나무

600650

5시간

250300

200300

잣나무

450500

가문비나무

450500

4,800

낙엽송

600650

9,000

140240

120200

미송

670720

라디에타소나무

600650

3,500

250300

200300



Posted by 다이하는 남자
건축/법령정보2017. 12. 10. 00:22

방부목재의 규격과 품질

[] 2004.06.22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04-06

[] 2006.08.16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06-05

[] 2007.11.16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07-07

[] 2009.07.10.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09-03

[] 2009.11.17.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09-06

[] 2010.11.30.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10-11

[] 2011.12.23. 국립산림과학원 고시 2011-03

1(적용범위) 이 기준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방부목재와 국외에서 수입되는 방부목재에 대하여 적용 한다.

2(검사항목)

1. 침윤도, 흡수량, 용탈성 및 함수율로 한다.

2. 사용환경 기준은 제3, 4조 및 제5조의 기준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 함수율 검사는 건조재로 표기되었을 때에만 적용한다.

3(침윤도)

1. 기준

사용

환경

범주

구분

적합기준

재종

측정부위

측정부위의

침윤도(%)

재면으로 부터

의 침윤깊이

(mm)

H1

-

-

BB:변재의

90 이상

IPBC, IPBCP, AAC: 1 이상

H2

변재

변재부분의 모두

80이상

-

심재

재면에서 10mm까지

50이상

5이상

H3

변재

변재부분의 모두

80이상

-

심재

재면에서 10mm까지

80이상

8이상

H4

변재

변재부분의 모두

80이상

-

심재

(두께 90mm이하)

재면에서 10mm까지

80이상

8이상

심재

(두께 90mm이상)

재면에서 15mm까지

80이상

12이상

사용환경:국립산림과학원 고시방부방충처리목재의 침윤도 및 흡수량

측정방법에 의한.

2. 시험방법

국립산림과학원 고시방부방충처리목재의 침윤도 및 흡수량 측정방

따른.

4(흡수량)

1. 기준

사 용 약 제 명

약제기호, 유효성분 또는 제형구분

흡수량(kg/)

H2

H3

H4

구리알킬암모늄화합물

ACQ

1.3 이상

2.6 이상

5.2 이상

크롬플루오르화구리아연화합물

CCFZ

4.0 이상

6.0 이상

8.0 이상

구리아졸화합물

CUAZ-1

1.3 이상

2.6 이상

5.2 이상

CUAZ-2

0.5 이상

1.0 이상

2.0 이상

CUAZ-3

0.96 이상

0.96 이상

2.4 이상

구리사이크로핵실다이아제니움디옥시-음이온화합물

CuHDO-1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CuHDO-2

1.24 이상

1.24 이상

2.48 이상

CuHDO-3

0.92 이상

0.92 이상

1.85 이상

테부코나졸프로피코나졸3-요오드-2-프로페닐부틸카바메이트

Tebuconazole, Propiconazole, IPBC

-

0.23 이상

-

마이크로나이즈드 구리 알킬암모늄화합물계

MCQ

1.3 이상

2.6 이상

5.2 이상

2. 시험방법

국립산림과학원 고시방부방충처리목재의 침윤도 및 흡수량 측정방법

따른다.

5(용탈성)

국립산림과학원 별도 고시에 의한다.

6(시험결과의 판정) 1롯트에서 채취한 시험편중 기준에 적합한 것이 90%이상일 때는 그 롯트는 합격한 것으로 하고, 70%미만일 때는 불합격한 것으로 한다.

70%이상에서 90%미만일 때는 그 롯트에 대하여서는 다시 시험에 필요한 시편을 채취하여 재시험을 한다.

이때 재시험시편의 수는 1차 채취 시편수의 2배로 하며 90%이상일 때는 합격으로 하고, 90%미만일 때는 불합격으로 한다.

7(인사이징) 난주입수종은 인사이징 처리를 하여야 한다. 난주입수종은 정상적인

가압처리공정으로 약액의 주입이 제3조의 침윤도 기준에 도달하지 않는 수종을 말한다.

8(함수율) 건조재는 다음과 같이 구분한다.

함수율 기준

건조구분 표시

15%미만

D15

15%이상 ~ 20%미만

D20

20%이상 ~ 25%미만

D25

25%이상 ~ 비건조재

GRN

9(품질표시) 사용자가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묶음단위 또는 개별단위로 표시하여야 하며, 품질표시방법 및 기재사항은 [별지1]과 같다.

부 칙


1. 이 고시는 고시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2. 고시를 시행하는 날에 국립산림과학원고시 제2010-11(2010.10.30.)는 이를 폐지한다.

별지 1

방부목재의 품질표시방법 및 기재사항

1. 품질표시방법

. 제품의 품질표시는 묶음단위 또는 개별단위로 한다.

. 개별단위의 표시가 현실적으로 비효율적인 소형 제품은 묶음(번들)단위로 표시하되, 묶음단위의 크기 및 묶음 대상 개별제품의 치수는 다음과 같이 한다.

(1) 묶음단위 1개의 크기는 300×300×300미만으로 한다.

(2) 개별 제품의 길이가 300이상 600미만이고, 최소 단면의 가로 및 세로 중에서 어느 하나가 150미만인 경우

, 묶음단위의 크기는 길이를 제외하고 가로 및 세로가 모두 300미만으로 하여야 한다.

(3) 개별 제품의 길이가 600이상이고, 최소 단면의 가로 및 세로가 모두 15미만인 경우

, 묶음단위의 크기는 길이를 제외하고 가로 및 세로가 모두 300미만으로 하여야 한다.

. 개별단위로 표시하는 제품의 치수는 표시의 효율성, 시설의 자동화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한다.

(1) 개별 제품의 길이가 300이상 600미만이고, 최소 단면의 가로 및 세로가 모두 150이상인 경우

(2) 개별 제품의 길이가 600이상이고, 최소 단면의 가로 및 세로 중에서 어느 하나가 15이상인 경우

. 소포장(묶음) 하지 않은 제품은 반드시 개별 표시한다.

. 표시도구는 도장, 스티커, 꼬리표 등을 이용하여 생산 및 유통과정에서 지장이 없도록 부착한다.

 

2. 묶음단위 품질표시 기재사항

방부목재 품질표

수 종 명

일반명으로 한다. (소나무, 낙엽송, 잣나무 등)

원 산 지

국명을 기재한다. (한국, 중국, 인도네시아 등)

품질

사용방부제

목재방부제의 종류 및 기호로 기재할 것.

(ACQ-1, CUAZ-2, CuHDO-3 )

사용환경범주

사용환경 범주에 따라 H1H4로 표기한다.

건조구분

방부처리후 최종함수율을 제8조의 함수율 기준에 따라<건조구분 표시>로 표기한다.

수 량 (개수)

내용물의 수량을 표시하여야 한다.

치 수

내용물의 치수를 두께((길이()로 표시하여야 한다.

제 조 일 자

2011. . .

제조자

주 소

(전화 )

성명(회사명)

* 품질표의 크기는 조정할 수 있으나 가로:세로의 비율이 2:3은 유지되어야 하며, 용지에 인쇄하여 묶음마다 부착하도록 한다.


3
. 개별단위 품질표시 기재사항

. 사용환경범주, 사용방부제, 수종명, 건조구분, 제조자, 제조일자를 개별제품에 표시한다.

(1) 사용환경범주

방부처리한 목재의 사용환경 범주에 따라 H1H4 표기한다.

(2) 사용방부제

사용환경범주에 따라 처리한 방부제를 표기한다.

(3) 수종

방부목재의 수종을 표기한다.

(4) 건조구분

방부처리 후 최종함수율을 제8조의 함수율 기준에 따라 <건조구분 표시>로 표기한다.

(5) 제조자

() 방부목재의 생산자는 반드시 기입하고 유통자를 병기할 수 있다.

() 수입 방부목재는 유통자(수입자)를 기입한다.

() , 산림청에 등록한 생산자 및 유통자는 부여받은 고유번호를 기입할 수 있다.

(6) 제조일자

방부목재의 제조 을 기입한다.

. 개별단위 품질표시 기재요령

Posted by 다이하는 남자
건축/건축용어2017. 12. 9. 00:21

시공사


시공사는 시행사나, 공기업, 조합 등으로부터 설계,토목,교량, 건축 들의 공사를 수의계약 및 수주받아 공사를 하는 건설회사를 말합니다. 큰 틀에서 종합건설을 말하며 세부적으로 전문건설을 말하기도 합니다.


시공사의 업무에는 시행사 등으로부터 발주를 받아서 공사만을 하는 곳을 말합니다. 쉽게 아파트를 건설하면 건설하는 업체 입니다. 시공사는 건설업 면허를 소지하고 있어야 하며 법인회사에 해당합니다. 


시공사는 공사중 발생하는 민원들도 처리하며 공사중 설계변경이 필요하면 시행사 확인 후 변경하는 경우도 많다.


아파트 공사를 완료하고 분양 후 하자 문제로 인해 시공사와 다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는 시행사와 해결해야 하며 시공사는 "분양자들에게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하지만 시행사가 하자에대해 이의를 제기하면 시공사는 하자를 처리를 완료해야 하며, 이를 처리하지 않을때 법적 책임을 지어야 합니다.


간혹 호텔, 상가, 민간아파트 등을 건설할때 시행사와 시공사가 같은 경우가 있습니다. 큰 건물의 경우는 전화로 문의해도 되면 작은 건물의 경우 구청, 시청에 문의 해야 합니다.


'건축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용어 먹매김  (0) 2017.12.12
시행사란 무엇인가?  (0) 2017.12.08
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e)  (0) 2017.12.04
Posted by 다이하는 남자
건축/건축용어2017. 12. 8. 00:19

시행사


우리가 알고 있는 시행사는 부동산 개발사업을 하는 사업체를 말한다. 부동산 개발 업자 이라고도 하며 부동산 디벨로퍼(developer)로도 불려진다. 


공공개발주체로 토지주택공사,서울도시주택공사, 지방공사 등이 해당된다.

민간 주택건설사업자 조합, 신탁, 개발, 이엔씨, 디엔씨 등의 상호명을 사용하기도 한다.


시행사란 말은 아파트 홍보, 구매 할때 많이 듣는다. 즉 토지를 구매하고 건물을 건설하고 이를 분양해서 판매하는 사업체를 말한다. 



시행사 업무 과정은 시장조사, 사업분석,상품기획, 토지매입, 측량, 사업시행, 설계, 분양, 홍보, 시공, 입주자모집, 감정펵가 의뢰, 사업비 은행대출, 등기, 자금관리, 사후관리로 광범위 하며 처음 부터 끝까지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총괄적인 업무를 하며 부동산 개발 전문가들이 하는 사업 주체이다. 시행사의 전문 인력은 건축이나 부동산 관련학과를 나온 사람들이나 건설이나 부동산 현장에서 일했던 사람들이 있다. 세부적으로 총무, 기획, 디자인, 컨설팅 세분하게 나뉘어서 사업체가 운영되고 작은 시행사일 경우 건축이나 부동산관련 전문가가 부분 외주를 줘서 사업을 하기도 한다.

시행사는 많은 행정절차와 전과정의 흐름을 파악하고 사업을 시행하는 곳이다.


'건축 > 건축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용어 먹매김  (0) 2017.12.12
시공사란 무엇인가?  (0) 2017.12.09
새집 증후군(Sick House Syndrome)  (0) 2017.12.04
Posted by 다이하는 남자